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서울대학교 일반전형
- S&P500
- 크롬 단축키
- 논술
- RStudio 설치
- R
- 2024년
- 구술면접
- 교차분석 #교육학
- R설치
- Chrome 단축키
- R studio
- ctrl+B
- RStudio
- 단축키 해제
- 생명과학
- 엔저현상
- 에틸렌
- 2022년
- 구술 면접
- 서술형 문항 제작 절차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 기초함수
- R 스터디
- dplyr
- iShared S&P 500 JPY Hedged ETF
- 서울대
- 교육 통계
- 문헌 읽기
- 컨트롤+B
- Today
- Total
목록입시 과학 논술 (4)
이끼네

“해충나방”은 유충일 때 잎을 섭식하여 나무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일으킨다. 최근 해충나방이 존재하지 않던 여러 국가에 해충나방이 유입되어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국가 (가)에 자생하던 해충나방 개체군이 해충나방이 없던 국가 (나)와 (다)에 유입되어 새로운 개체군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하자. 각 국가에 서식하는 해충나방을 국가별로 100개 지역에서 1년간 채집해 개체군의 형질 X에 대한 유전자풀을 조사하였다. 해충나방은 3가지 대립유전자 a, b, c에 의해 결정되는 형질 X를 가지고 있으며, 형질 X의 표현형은 A형, B형, C형으로 나타난다. (단, 대립유전자의 조합에 의한 표현형 결정은 고려하지 않는다.)ⅰ) 국가별 개체군의 형질 X의 표현형 구성 비율ⅱ) 국가별 월평균 기온ⅲ) 표현형에 따른 생장 ..

문제 1. 단백질의 기능은 모든 생리현상의 기반이 되며, 단백질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양한 질병이 발생하기도 한다. 단백질의 기능 조절은 전사, 번역 과정을 통해 생성된 폴리펩타이드의 3차원 구조 형성 및 변형, 세포 소기관으로의 이동, 외부 신호 전달 물질의 인지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다음 질문들을 통해 이러한 과정들의 원리를 이해하고자 한다.1-.1. 단백질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3차원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데, 구형 단백질의 구조는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풀린 형태에서 압축된 형태로 접힘으로써 형성된다([그림 1]). 풀린 형태에서는 대부분의 아미노산이 수용액에 노출되어 있지만, 접힘 과정에서 일부 아미노산은 수용액으로부터 배제되어 내부 환경을 이루고, 나머지는 수용액에 노출되는..

문제 2. 에틸렌은 2개의 탄소와 4개의 수소 원소로 이루어진 기체성 식물 호르몬이다. 농부들은 채 익지 않은 바나나를 수확하여 운반 및 저장을 하고 판매 직전에 에틸렌 기체에 노출시켜 숙성시킨 뒤 판매한다. 이를 과일 후숙이라 한다. 철수는 시장에서 사 온 익지 않은 한 바구니의 초록색 토마토를 빨리 익히려면 사과나 바나나와 함께 두면 된다는 정보를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얻었다. 실제로 바나나를 같은 바구니에 넣었더니 모든 토마토의 열매 후숙이 점점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웃집 영희는 자신도 비슷한 토마토 한 바구니를 샀는데 익지 않는다고 바나나를 빌려 달라고 했다. 철수는 바나나를 이미 다 먹었기에 대신 빨갛게 익은 토마토를 빌려주었다. 2-1. 영희의 토마토는 철수의 도움으로 빨리 잘 익었다. 이 사실..

문제 1. 비소 광산 주변의 토양은 독성 중금속인 비소가 높은 농도로 포함되어 있다. 비소 광산 근처에서 발견되는 식물종 (가)의 개체군은 비소 광산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서식하는 동종 개체군과 여러 가지 차이를 보인다. 제시된 지문을 바탕으로 아래 질문(문항 1-1 ~ 1-5)에 답하시오. 비소는 비소 화합물 a 형태로 식물 세포로 흡수되고 식물에 강한 독성을 나타낸다. 식물에 대한 독성이 강할수록 식물 생장이 저해된다. 개체군 1은 비소 광산 주변, 개체군 2는 비소 오염이 없는 먼 지역에 서식하는 개체군이다. 두 개체군에서 채집한 씨앗을 비소 오염 토양에서 재배하였을 때 개체군 1은 크고 건강하게 자라고 꽃을 잘 피우지만('건강'), 개체군 2는 왜소하고 꽃을 피우지 못한다('시듦'). 두 개체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