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 구술 면접
- Chrome 단축키
- dplyr
- ctrl+B
- R 스터디
- RStudio 설치
- 2024년
- 서술형 문항 제작 절차
- iShared S&P 500 JPY Hedged ETF
- 엔저현상
- RStudio
- 문헌 읽기
- S&P500
- 기초함수
- 교차분석 #교육학
- 단축키 해제
- 에틸렌
- 서울대학교 일반전형
- 구술면접
- 컨트롤+B
- R설치
- 크롬 단축키
- 생명과학
- 논술
- R studio
- 교육 통계
- 2022년
- 서울대
- R
- Today
- Total
목록문헌 읽기 (6)
이끼네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 "헌법 제 31조 1항" 모든 국민은 성별, 종교, 신념, 인종, 사회적 신분, 경제적 지위, 신체적 조건 등을 이유로 교육에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 "교육기본법 제 4조' 1. 들어가며 한 사회에서 평등 개념의 실현은 매우 중요한 교육적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사회 구성원들은 누구나 평등한 교육 기회를 부여 받아야 한다. 또한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성취된 교육 결과는 합리적이고 공평한 사회 지위 배분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 교육적 평등을 실현하는 수단이라 할 수 있을까? 기능주의 입장 : 교육은 사회적 평등을 실현시킬 수 있는 유일한 사회적 도구이며, 학습자는 교육을 통하여 자신의 노력에 합당한 성취를 얻..

STEM 교육은 왜 필요한가? 1. 미래 직업 사회 구조의 변화 [6/29] 미국의 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STEM 관련 직업은 십 년간 전체 직업군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 직업사회 구조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STEM 교육이 필요하다. Zilberman, A., & Ice, L. (2021). Why computer occupations are behind strong STEM employment growth in the 2019–2029 decade, beyond the numbers: Employment and unemployment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January 2021). STEM 교육은 ..

본 게시글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교육 결과'에서 참조할만한 부분들을 직접, 간접 인용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교육 불평등 문제를 다양한 패널 자료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교육 불평등을 설명할 때 필요한 기초 용어를 읽기 쉽게 설명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사례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설득력 있게 잘 전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표지에 있는 질문 '한국에서 교육불평등은 심화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답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해당 책을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1. 한국 사회 교육 성취에 대한 두 가지 시각 교육은 현대 사회의 사회 경제적 지위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부 계층만이 교육을 받는 전근대적 사회에서는 가족 배경이나 신분..

1. 서술형 평가 문항의 제작 시 고려할 사항 왜 서술형 평가를 해야 하는가? 서술형 평가의 목적은 무엇인가? 교사는 서술형 시험에서 무엇을 묻고자 하는가? 학생들이 이 서술형 시험을 통해서 무엇을 획득할 수 있는가? 교사는 학생의 어떤 능력을 끌어내기 위해서 어떤 서술형 문항을 만들려고 하는가? 학생은 서술형 문항에서 무엇을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서술형 평가의 목적과 목표에 이르기 위해서 교사는 수업과 관련하여 문제 장면을 어떻게 선정하고 어떤 문항 제작 절차를 따라야 하는가? 2. 서술형 평가 문항 제작 절차 가. 이상적 제작 절차 수업 및 평가 목적 확인 : 일반적으로 서술형 평가의 목적은 교수 학습의 개선과 학생 능력의 향상이다. 교육 과정 분석 : 각 교과의 중, 소단위와 내용에 대한 확인과정..

1. 서술형 평가의 목적은 무엇인가? 서술형 평가의 근본 취지는 지식 중심 평가에서 사고력 중심 평가로 전환하는 데 있다. 서술형 평가의 목적은 특정한 지식을 맞게 알고 있는 지를 주로 평가하고자 하는 선택형, 단답형 또는 완성형 평가와 달리, 정답의 결과보다는 정답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학생의 문제 해결 능력, 종합적이고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 및 창의력을 평가하는 데 있다. 2. 서술형 평가의 개념적 이해 가. 응답자 반응 형태에 따른 문항 구분 : 선택형(selection type) vs 서답형(supply type) 선택형 : 응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중에서 정답이라고 판단되는 것을 선택하게 하는 문항 형태 서답형 : 응답자가 직접 답이라고 생각하는 지식이나 의견 등을 구성하여 ..

최근, 수능을 필두로 교육 격차 해소가 우리 사회의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 지역과 사회 계층에 따라 격차가 존재하는 것은 오래 전부터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전염병 유행을 겪은 이후 우리 사회의 교육 격차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다루어지고 있는다. 상승 이동의 사다리로 기능했어야 하는 교육이 과연 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에 대한 의문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교육 격차를 해결 전략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교육 격차의 의미를 개념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음 연구 논문은 교육 격차의 개념을 정의하고, 2000년대 초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교육 격차의 실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 본 글에서는 해당 연구 논문에서 정리한 '교육 격차의 개념적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