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끼네

[연구][문헌 정리] STEM 교육 관련 참고 문헌 정리 본문

문헌 읽기

[연구][문헌 정리] STEM 교육 관련 참고 문헌 정리

이끼네 2023. 6. 29. 10:52

STEM 교육은 왜 필요한가?

1. 미래 직업 사회 구조의 변화

[6/29] 미국의 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STEM 관련 직업은 십 년간 전체 직업군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 직업사회 구조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STEM 교육이 필요하다. 

Zilberman, A., & Ice, L. (2021). Why computer occupations are behind strong STEM employment growth in the 2019–2029 decade, beyond the numbers: Employment and unemployment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January 2021).

STEM 교육은 어떻게 해야하는가?

1. Motivation을 고려하라.

[6/29] 학생의 동기(motivation)는 feel capable, sufficient self-efficacy, set meaningful goals, receive positive feedback from others할 때, 증가한다. 

Hattie, J. (2012). Visible learning for teachers maximizing impact on learning. Routledge.

2. 테크놀로지를 활용을 고려하라.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에서 고려할 점 (1)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SES>

[6/29] 학생 중심의 수업의 실천이 중요해지고 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참여(engagement)를 어떻게 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다. 최근 디지털 환경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학생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이때, 디지털 기기활용 교육의 한 가지 성공 요인은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학생의 self-efficacy인데, 이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SES)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서론).

Chen, S. F., Lin, C. Y., Wang, J. R., Lin, S. W., & Kao, H. L. (2012). A cross-grade comparison to examine the context effect on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resources, school climate, learning participation, science attitude, and science achievement based on TIMSS 2003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4), 2089-2106.

<종합 정보>
- TIMSS 2019 자료 활용
* TIMSS는 전 세계적으로 4학년 및 8학년 학생들의 수학 및 과학 성취도를 정기적으로 평가함. 국제교육성취평가협회(IEA)에서 주관하는 프로젝트. TIMSS는 1995년부터 4년 주기로 실시되었으며 1995년, 1999년, 2003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9년에 7번 대상 인구를 평가했으며 2023년 계획을 진행 중(Mullis et al., 2020).
- 종속 : 과학 성취 / 독립 : 가정 학습 자원, 학교자원, 교수-학습 전략
- 위계적 선형모(HLM)을 활용한 분석

이론적 배경
1. Home educational resources, school composition by student background, and students bullied at school [https://doi.org/10.1002/sce.21804] → 가정 SES, 학교 수준 및 학교폭력(사이버불링 포함)과 학업 성취관계
2. Attitude toward learning : motivation → 성취, 진로, 열망 / interest, self-efficacy, confidence / commnunication technologies(과거에는 부정적 평가, COVID-19 이후 온라인-디지털 교육이 활성화로 관점이 바뀌는 중, supportive→alternative)
3. Instructional practice and strategies : 교사중심 → 학생중심 / Laboratory work / 어떤 교수법이 가장 효과적인가?

연구자료
- TIMSS 2019 : https://timss2019.org/international-database/
- 표본 추출된 273개 학교에서 총 8698명의 학생
- student(6개 구인)-, teacher-(7개 구인), school level(1개-교장선생님 응답)

 

반응형